사탕수수를 잃은 농부 > 지혜는 어리석음을 먹고 자란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지혜는 어리석음을 먹고 자란다

사탕수수를 잃은 농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통섭불교
댓글 0건 조회 24,079회 작성일 21-07-09 11:11

본문

  어느 나라에 두 농부가 살았습니다.

  두 사람은 사탕수수를 심으면서 ‘좋은 종자를 심어 사탕수수 맛이 좋은 사람에게는 후한 상을 주고, 좋지 못한 사람에게는 엄한 벌을 주도록 하자.’ 고 서로 약속했습니다.

  한 사람이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사탕수수는 매우 달다. 그 즙을 짜서 사탕수수에 도로 주면 다른 것보다 훨씬 달겠지.’

  그는 자라난 사탕수수의 줄기에서 즙을 짜서 뿌리에 주었습니다.

  그리고는 사탕수수가 잘 자라 맛나기를 기다렸습니다.

  그러나 줄기가 상한 사탕수수는 모두 죽고 말았습니다.


  이는 세상에서 자신의 권세와 힘으로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아 그것으로 복의 근원을 지어 좋은 결과를 얻으려는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지적하는 이야기입니다.


  


  ♧♧♧

  씨앗을 뿌리고 추수를 하려면 싹이 트고 잘 자랄 수 있는 적당한 조건이 주어져야 합니다.

  물이 너무 많아 질퍽질퍽한 땅이나, 물기가 없는 메마른 땅에서 싹은 트지 않습니다. 적당한 수분과 온도가 주어져야만 싹을 틔울 수 있습니다. 열대식물이 자라나기 위해서는 열대기후가 필요합니다. 만약 한대지방에 옮겨 놓는다면 그 식물은 죽고 말 것입니다.

  문화도 같은 이치입니다.

  어떤 문화가 성장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적당한 조건이 주어져야 합니다. 어떤 지역이든 그 지역에 맞는 특수한 문화가 있습니다. 우리한반도에는 우리에게 맞는 우리 풍토와 기후에 알맞은 수천 년을 다듬어온 무엇보다도 소중한 우리의 문화가 있습니다.

  외국의 다른 나라도 그 나라에 맞는 독특한 문화가 있게 마련입니다. 자신의 것을 토대로 하여 다른 나라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때는 두 문화의 조화와 성숙에서 더 훌륭한 문화가 꽃 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것을 부정하고 다른 나라의 문화를 맹신적으로 받아들일 때는 자기 자신을 잃고 잘못 이식된 퇴폐적 암적이 문화가 태어날 것입니다.

  어째서 우리들은 전통문화는 소홀하게 여기면서 외래문화는 어른 모시듯 하는지, 그 태도는 어디서부터 온 것일까요?

  그리스ㆍ로마 신화는 보물 다루듯 소중하게 여기고, 우리의 단군신화는 미신이라 하면서 천하게 보는 태도는 어디에서 오는 것입니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상호.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대표. 김성규 사업자등록번호. 514-82-14810 [사업자등록, 법인등록정보 확인]
Tel)053-474-1208 Fax)053-794-0087 E-mail) tongsub2013@daum.net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0(대명동)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규

Copyright ©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0
어제
0
최대
0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