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화엄경_차례2
페이지 정보
본문
차례
1.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
(1-1) 시성정각(始成正覺)
(1-2) 장엄
(1-2-1) 땅의 장엄/ (1-2-2) 보리수의 장엄/ (1-2-3) 궁전의 장엄/
(1-2-4) 사자좌의 장엄
(1-3) 세존의 불가사의한 덕(德)
(1-4) 화엄회상의 대중
(1-4-1) 보살대중의 이름과 덕행/ (1-4-1-1) 동명(同名)보살/ (1-4-1-2) 이명(異名)보살/ (1-4-1-3) 보살대중의 덕행
(1-4-2) 잡류제신중의 이름과 덕행
(1-4-2-1) 집금강신 /(1-4-2-2) 신중신 /(1-4-2-3) 족행신 /(1-4-2-4) 도량신 /(1-4-2-5) 주성신 /(1-4-2-6) 주지신 /(1-4-2-7) 주산신 /(1-4-2-8) 주림신 /(1-4-2-9) 주약신 /(1-4-2-10) 주가신 /(1-4-2-11) 주하신/
(1-4-2-12) 주해신 /(1-4-2-13)> 주수신 /(1-4-2-14) 주화신 /
(1-4-2-15) 주풍신 /(1-4-2-16) 주공신 /(1-4-2-17) 주방신 /
(1-4-2-18) 주야신 /(1-4-2-19) 주주신
(1-4-3) 팔부사왕중의 이름과 덕행
(1-4-3-1) 아수라왕 /(1-4-3-2) 가루라왕 /(1-4-3-3) 긴나라왕 /
(1-4-3-4) 마후라가왕 /(1-4-3-5) 야차왕 /(1-4-3-6)용왕 /
(1-4-3-7) 구반다왕 /(1-4-3-8) 건달바왕
(1-4-4) 욕계천중의 이름과 덕행
(1-4-4-1) 월천자 /(1-4-4-2)일천자 /(1-4-4-3) 삼십삼천왕 / (1-4-4-4) 수야마천왕 /(1-4-4-5) 도솔타천왕 /(1-4-4-6) 화락천왕 / (1-4-4-7) 타화자재천왕
(1-4-5) 색계천중의 이름과 덕행
(1-4-5-1) 대범천왕 /(1-4-5-2) 광음천왕 /(1-4-5-3) 변정천왕 /
(1-4-5-4) 광과천왕 /(1-4-5-5) 대자재천왕
(1-5) 화엄회상 대중들의 위의(威儀)
(1-6) 화엄회상 대중들의 덕행과 인연
(1-7) 화엄회상 대중들의 득법(得法)
(1-7-1) 묘염해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2) 가애락법광명당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3) 청정혜명칭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4) 가애락광명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5) 대범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6) 자재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7) 선화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8) 지족 천왕의 득법/ (1-7-9) 시분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10) 석가인다라 천왕과 그 대중들의 득법/ (1-7-11) 일천자와 그 대중들의 득법/ (1-7-12) 월천자와 그 대중들의 득법/ (1-7-13) 건달바왕(乾闥婆王) 대중들의 득법/ (1-7-14) 구반다왕(鳩槃茶王) 대중들의 득법/ (1-7-15) 용왕(龍王) 대중의 득법/ (1-7-16) 야차왕(夜叉王) 대중들의 득법/ (1-8-17) 마후라가왕(摩睺羅伽王) 대중의 득법/ (1-7-18) 긴나라왕(緊那羅王) 대중들의 득법
(1-7-19) 가루라왕(迦樓羅王) 대중들의 득법/ (1-7-20) 아수라왕(阿修羅王) 대중들의 득법/ (1-7-21) 주주신(主晝神) 대중들의 득법/ (1-7-22) 주야신(主夜神) 대중들의 득법/ (1-7-23) 주방신(主方神) 대중들의 득법/ (1-7-24) 주공신(主空神) 대중들의 득법/ (1-7-25) 주풍신(主風神)대중의 득법/ (1-7-26) 주화신(主火神) 대중들의 득법/ (1-7-27) 주수신(主水神) 대중들의 득법/ (1-7-28) 주해신(主海神) 대중의 득법/ (1-7-29) 주하신(主河神) 대중들의 득법/ (1-7-30) 주가신(主稼神) 대중들의 득법/ (1-8-31) 주약신(主藥神) 대중들의 득법/ (1-7-32) 주림신(主林神) 대중들의 득법/ (1-7-33) 주산신(主山神) 대중들의 득법/ (1-7-34) 주지신(主地神) 대중들의 득법/ (1-7-35) 주성신(主城神) 대중들의 득법/ (1-7-36) 도량신(道場神) 대중들의 득법/ (1-7-37) 족행신(足行神) 대중들의 득법/ (1-7-38) 신중신(身衆神) 대중들의 득법/ (1-7-39) 집급강신(執金剛神) 대중들의 득법/ (1-7-40) 보현(普賢) 보살의 득법/ (1-7-41) 십보(十普) 보살대중들의 득법/ (1-7-42) 십이명(十異名) 보살대중들의 득법
(1-7-43) 사자좌(獅子座)의 보살/ (1-7-43-1) 출처/ (1-7-43-2) 보살들의 이름/ (1-7-43-3) 공양구름/ (1-7-43-4) 세존을 돌다/ (1-7-43-5) 보살들의 덕을 밝힘
(1-8) 상서를 보이다
(1-8-1) 땅이 진동하다/ (1-8-2) 공양구름
(1-9) 무궁무진으로 맺다
7.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7-1) 서분
(7-1-1) 정각을 이루다
(7-1-2) 세존의 덕
(7-1-3) 보살대중과 덕행
(7-2) 40문의 법을 청하다
(7-2-1) 사유로 10문을 청하다
(7-2-2) 법을 청하는 까닭
(7-2-3) 불과의 인 10문
(7-2-4) 불과의 과 20문
(7-3) 신통을 보이다
(7-4) 시방의 보살대중
(7-4-1) 동방의 문수보살/ (7-4-2) 남방의 각수보살/ (7-4-3) 서방의 재수보살/ (7-4-4) 북방의 보수보살/ (7-4-5) 동북방의 공덕수보살/ (7-4-6) 동남방의 목수보살/ (7-4-7) 서남방의 정진수보살/ (7-4-8) 서북방의 법수보살
(7-4-9) 하방의 지수보살/ (7-4-10) 상방의 현수보살
(7-5) 문수보살의 설법
(7-5-1) 부처님 경계의 불가사의
(7-5-2) 여래의 종종경계
(7-5-3) 사천하의 여래명호
(7-5-4) 사바세계의 여래명호
(7-5-5) 세계 차별의 이유
11. 정행품(淨行品)
(11-1) 지수보살이 문수보살에게 묻다
(11-1-1) 불과(佛果)의 삼업(三業)
(11-1-2) 불과(佛果)의 구족(具足)
(11-1-3) 십종지혜(十種智慧)
(11-1-4) 열 가지 힘
(11-1-5) 법의 선교(善巧)
(11-1-6) 칠각분(七覺分)과 삼공(三空)
(11-1-7) 6바라밀과 4무량심(四無量心)
(11-1-8) 십종력(十種力)
(11-1-9) 시왕공경(十王恭敬)
(11-1-10) 능히 요익(饒益)이 되다
(11-1-11) 뛰어나게 존귀(尊貴)한 지위
(11-2) 문수보살의 답
(11-2-1) 문법을 칭찬하다
(11-2-2) 마음을 잘 쓰는 것이 답이다
(11-2-3) 게송으로 답하다
(11-2-4) 이익을 찬탄하다
15. 십주품(十住品)
(15-1) 삼매와 가피를 보이다
(15-1-1) 법혜보살이 삼매에 들다
(15-1-2) 가피를 입다
(15-1-3) 가피와 삼매의 인연
(15-1-4) 가피하는 열가지 이유
(15-1-5) 입의 가피
(15-1-6) 뜻의 가피
(15-1-7) 몸의 가피
(15-2) 보살의 십주
(15-2-1) 머무는 곳의 체상 / (15-2-2) 이름을 열거하다 / (15-2-3) 제1 발심주 / (15-2-4) 제2 치지주 / (15-2-5) 제3 수행주 / (15-2-6) 제4 생귀주/ (15-2-7) 제5 구족방편주 / (15-2-8) 제6 정심주 /(15-2-9) 제7 불퇴주/
(15-2-10) 제8 동진주 / (15-2-11) 제9 법왕자주 / (15-2-12) 제10 관정주
/ (15-2-13) 6종18상으로 진동하여 상서를 보이다/ (15-2-14) 천상의 꽃과 음악 등으로 상서를 보이다/ (15-2-15)시방 보살들의 찬탄과 증명
(15-3) 게송을 설하여 거듭 밝히다
(15-3-1) 제1 발심주/ (15-3-2) 제2 치지주(治地住)/ (15-3-3) 제3 수행주(修行住)/ (15-3-4) 제4 생귀주/ (15-3-5) 제5 구족방편주/ (15-3-5-1) 구족방편주의 법을 말하다/ (15-3-6) 제6 정심주 / (15-3-7) 제7 불퇴주/ (15-3-8) 제8 동진주/ (15-3-9) 제9 법왕자주/ (15-3-10) 제10 관정주
21. 십행품(十行品)
(21-1) 공덕림(功德林)보살이 삼매에 들다
(21-2) 부처님이 가피(加被)를 내리다
(21-2-1) 가피의 인연을 말하다/ (21-2-2) 부처님의 가피가 하는 일을 말하다
/ (21-2-3) 가피의 상(相)을 보이다
(21-3) 공덕림보살의 열 가지 보살행
(21-3-1) 보살행의 근본을 말하다/ (21-3-2) 열 가지 행의 이름을 열거하다/ (21-3-3) 제1 환희행 / (21-3-4) 제2 요익행/ (21-3-5) 제3 무위역행(無違逆行)/ (21-3-6) 제4 무굴요행/ (21-3-7) 제5 이치란헹/ (21-3-8) 제6 선현행
/ (21-3-9) 제7 무착행/ (21-3-10) 제8 난득행/ (21-3-11) 제9 선법행 / (21-3-12) 제10 진실행
(21-4) 상서(祥瑞)를 나타내어 증명하다
(21-4-1) 6종 18상의 진동과 하늘 공양/ (21-4-2) 다른 야마천궁에서도 그와 같았다/ (21-4-3) 십만 세계 미진수 보살들의 찬탄
(21-5) 게송을 설하여 거듭 밝히다
(21-5-1) 게송을 설하는 까닭/ (21-5-2) 부처님께 귀의하여 예경하다/ (21-5-3) 삼세의 부처님께 배워 수행하다/ (21-5-4) 수행의 근본을 말하다
/ (21-5-5) 제1 환희행을 말하다/ (21-5-6) 제2 요익행(饒益行)을 말하다
/ (21-5-7) 제3 무위역행(無違逆行)을 말하다/ (21-5-8) 제4 무굴요행(無屈撓行)을 말하다/ (21-5-9) 제5 이치란행(離痴亂行)을 말하다/ (21-5-10) 제6 선현행(善現行)을 말하다/ (21-5-11) 제7 무착행(無着行)을 말하다/ (21-5-12) 제8 난득행(難得行)을 말하다/ (21-5-13) 제9 선법행(善法行)을 말하다/
(21-5-14) 제10 진실행(眞實行)을 말하다
(26) 십지품
(26-1) 제1 환희지(歡喜地)
(26-1-1) 설법할 수 있는 인연을 갖추다/ (26-1-2) 삼매(三昧)에 들다/
(26-1-3) 가피(加被)를 내리다/ (26-1-4) 삼매에서 일어나 십지의 강요를 말하다/ (26-1-5) 자세히 설(說)해줄 것을 청하다/ (26-1-6) 환희지를 설하다
(26-2) 이구지(離垢地)
(26-2-1) 제2 이구지에 들어가는 열 가지 마음/ (26-2-2) 이구지에 머무는 마음, 삼취정계(三聚淨戒)를 말하다/ (26-2-3) 이구지에 머문 공과(功果)를 밝히다
(26-3) 발광지(發光地)
(26-3-1) 발광지에 들어가는 열 가지 깊은 마음/ (26-3-2) 유위법(有爲法)의 실상을 관찰하다/ (26-3-3) 불지혜(佛智慧)에 나아가다/ (26-3-4) 일체 중생에게 내는 열 가지 불쌍한 마음/ (26-3-5) 보살이 크게 정진할 마음을 내다/
(26-3-6) 정법(正法)을 부지런히 수행하다/ (26-3-7) 정법 한 구절의 가치를 밝히다/ (26-3-8) 정법 한 구절로 어떤 고통도 극복하다/ (26-3-9) 발광지에서 수행하는 사선(四禪)과 사공(四空)
(26-4) 염혜지(廉慧地)
(26-4-1) 제4 염혜지에 들어가는 십법명문(十法明門)/ (26-4-2) 여래의 집에 태어나는 열 가지 지혜를 성숙하는 법/ (26-4-3) 염혜지에서 수행하는 37조도품(助道品)/ (26-4-4) 37조도품을 수행하는 열 가지 이유/ (26-4-5) 염혜지에서 얻은 공과(功果)
(26-5) 난승지(難勝地)
(26-5-1) 난승지에 들어가는 열 가지의 평등하고 청정한 마음/ (26-5-2) 제5지에서 닦는 수행/ (26-5-3) 제5지 보살이 통달하여 아는 법/ (26-5-4) 아는 까닭을 밝히다/ (26-5-5) 중생을 위한 보살의 방편/ (26-5-6) 일체중생의 교화/ (26-5-7) 제5지에 머무는 보살의 수행과 명칭/ (26-5-8) 중생을 교화하는 방편/ (26-5-9) 세간의 중생들을 수순하는 지혜/ (26-5-10) 제5난승지에 머문 공과(功果)
(26-6) 현전지(現前地)
(26-6-1) 제6에 들어가는 열 가지 평등한 법/ (26-6-2) 연기(緣起)를 열 가지 순역으로 관찰하다
(26-7) 원행지(遠行地)
(26-7-1) 제7지에 들어가는 열 가지 방편지혜/ (26-7-2) 한량없는 법을 수행하여 장애를 다스리다/ (26-7-3) 열 가지 바라밀의 법을 닦다/ (26-7-4) 제7지와 보리분법(菩提分法)과의 관계/ (26-7-5) 7지와 염정(染淨)의 관계/ (26-7-6) 7지 보살의 업청정(業淸淨)/ (26-7-7) 7지에서 얻는 삼매/
(26-7-8) 청정한 삼업(三業)/ (26-7-9) 이승(二乘)과의 차별/ (26-7-10) 정(定)에 드는 일/ (26-7-11) 제7지 보살이 방편으로 보이다/ (26-7-12) 원행지(遠行地)에 머문 공과(功果)
(26-8) 부동지(不動地)
(26-8-1) 방편을 닦아 익히다/ (26-8-2)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다/
(26-8-3) 수승한 행(行)을 얻다/ (26-8-4) 제불(諸佛)이 나타나 격려하다/
(26-8-5) 지혜를 일으키는 문을 주다/ (26-8-6) 모든 불국토가 청정하다/
(26-8-7) 열 가지의 자재/ (26-8-8) 지혜와 업과 힘의 수승함/ (26-8-9) 제8지의 열 가지 이름/ (26-8-10) 제8지에서 성취하는 능력/ (26-8-11) 부동지(不動地)의 공과
(26-9) 선혜지(善慧地)
(26-9-1) 선혜지에 들어가는 열 가지 방편/ (26-9-2) 선혜지에 머무는 열 가지 행법(行法)/ (26-9-3) 여실히 아는 열 가지 행(行)/ (26-9-4) 설법이 성취되다/ (26-9-5) 선혜지의 공과를 밝히다
(26-10) 법운지(法雲地)
(26-10-1) 수행방편을 모두 갖추다/ (26-10-2) 삼매를 얻다/ (26-10-3) 십지위(十地位)의 모든 것을 갖추다/ (26-10-4) 열 가지의 광명을 보이다/
(26-10-5) 지위(地位)를 얻다/ (26-10-6) 비유를 들어 보이다/ (26-10-7) 법운지(法雲地)에 머물다/ (26-10-8) 지혜의 광대함을 설하다/ (26-10-9) 모든 해탈을 다 얻다/ (26-10-10) 법운지의 이름을 해석하다/ (26-10-11) 신통에 대하여 밝히다/ (26-10-12) 십지(十地)의 공과(功果)/ (26-10-13) 십지(十地)의 이익을 나타내다/ (26-10-14) 게송으로 십지(十地)를 다시 설하다
- 이전글1화엄경세주묘엄품1 23.02.18
- 다음글우리말화엄경_차례 23.0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