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화엄경십행품_2 > 우리말화엄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우리말화엄경

21화엄경십행품_2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통섭불교
댓글 0건 조회 10,901회 작성일 23-02-18 13:32

본문

 (21-3-9)  제7 무착행

(21-3-9-1) 세계를 장엄하나 마음에 집착이 없다

“보살들이여, 어떤 것이 보살의 집착 없는 행[無著行]입니까? 보살들이여, 이 보살이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 찰나찰나마다 아승지 세계에 들어가서 아승지 세계를 깨끗이 장엄하되 모든 세계에 집착하는 마음이 없습니다. 

  

(21-3-9-2) 부처님께 공양하지만 마음에 집착이 없다

아승지 여래께서 계신 곳에 나아가 공경하고 예배하고,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되, 아승지 꽃과 아승지 향과 아승지 화만과 아승지 바르는 향과 가루향이며, 의복과 보배와 당기와 깃발과 일산과 모든 장엄거리를 각각 아승지로써 공양하나니, 이렇게 공양하는 것은 지음이 없는 법을 끝내기 위함이며, 부사의한 법에 머물기 위한 연고입니다. 

  

잠깐잠깐 동안에 수없이 많은 부처님을 뵈옵되 부처님에게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며, 모든 부처님 세계에도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며, 부처님 잘 생긴 몸매에도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며, 부처님의 광명을 보고 부처님의 법문을 듣는 데도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며, 시방의 세계와 부처님과 보살과 모인 대중에게도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며, 불법을 듣고는 환희한 마음을 내고 뜻과 힘이 광대하여, 모든 보살의 행을 능히 가지고 능히 행하면서도 부처님 법에 집착하는 마음이 없습니다. 

  

(21-3-9-3) 불법 가운데는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다

이 보살이 한량없이 많은 겁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심을 보고, 낱낱 부처님 계신 데서 섬기고 공양하기를 한량없이 많은 겁이 다하도록 하더라도 마음에 만족함이 없으며, 부처님을 뵈옵고 법을 듣고 보살과 모인 대중의 장엄을 보더라도 집착함이 없으며, 부정한 세계를 보고도 미워하는 생각이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하면 이 보살이 부처님과 같이 법을 관찰하는 연고입니다. 불법 가운데는 때 묻음도 없고 깨끗함도 없고 어둠도 없고 밝음도 없고 다름도 없고 하나도 없고 진실함도 없고 허망함도 없고 편안함도 없고 험난함도 없고 바른 길도 없고 삿된 길도 없기 때문입니다. 

  

(21-3-9-4) 온갖 만행(萬行)을 닦더라도 집착이 없다

보살이 이렇게 법계에 깊이 들어가 중생을 교화하되 중생에게 집착을 내지 않고, 모든 법을 받아 지니되 모든 법에 집착을 내지 않고, 보리심을 내어 부처님 머무시는 데 머물되 부처님 머무시는 데 집착을 내지 않고, 비록 말을 하나 말에도 집착함이 없고, 삼매를 알아서 들어가고 머무르되 삼매에 집착함이 없고, 한량없는 부처님 국토에 나아가 들어가기도 하고 보기도 하고 그 가운데 머물기도 하되 부처님 국토에 집착함이 없고, 버리고 갈 적에도 그리워하지 않습니다. 

  

(21-3-9-5) 집착이 없으므로 얻는 이익

보살이 이렇게 집착함이 없는 연고로 불법 가운데 마음이 장애되지 않으며, 부처님의 보리를 알고 법의 비니(毘尼)를 증득하고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에 머무르며, 보살의 행을 닦고 보살의 마음에 머물고 보살의 해탈법을 생각하면서도 보살의 머무는 곳에 물들지 아니하고 보살의 행하는 데에 집착함이 없이, 보살의 도를 청정케 하여 보살의 수기를 받습니다. 

  

(21-3-9-6) 집착이 없으므로 남을 이롭게 하다

수기를 받고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범부가 우치하여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며 신심이 없고 이해가 없고 총명하고 민첩한 행이 없으며, 완악하고 어리석어 생사에 헤매면서 부처님 뵙기를 구하지 않고, 밝은 곳으로 인도함을 따르지 않고 조어(調御)함을 믿지 않으므로 아득하고 잘못되어 험난한 길에 들어가는 것이며, 십력(十力)을 가지신 이를 공경하지 않고, 보살의 은혜를 알지 못하며, 머무른 곳에만 탐착하여 모든 법이 공하다 함을 듣고는 공포한 마음을 내며, 바른 법을 떠나고 삿된 법에 머물며, 평탄한 길을 버리고 험난한 길에 들어가 부처님 뜻을 등지고 마군의 뜻을 따르면서 모든 있는 데서 굳게 집착하고 버리지 못하나니, 보살은 이렇게 중생을 관찰하고 대비심을 증장하여 모든 선근을 내면서도 집착하지 않습니다. 

  

(21-3-9-7) 큰 자비심으로 중생을 구제하다

보살은 또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내가 마땅히 한 중생을 위하여 시방세계의 낱낱 국토에서 한량없이 많은 겁을 지내면서 교화하여 성숙케 할 것이며, 한 중생을 위하는 것 같이, 모든 중생을 위하여서도 그와 같이 할 것입니다. 마침내 이것을 위하여 싫거나 고달픈 마음을 내어 그냥 버려두고 다른 데 가지 않을 것이며, 또 털끝으로 법계를 두루 재면서 한 털끝만한 곳에서 한량없이 많은 겁이 다하도록 일체 중생을 교화하고 조복하며, 한 털끝만한 곳에서와 같이 낱낱 털끝만한 곳에서도 그와 같이 할 것이다.' 

  

(21-3-9-8) 집착이 없음을 널리 나타내다

'손가락 한 번 튀기는 동안이라도 나라는 데 집착하여 나라는 생각과 내 것이란 생각을 일으키지 않으며, 낱낱 털 끝만한 곳에서 마다 오는 세월이 끝나도록 보살의 행을 닦아도 몸에 집착하지 않고, 법에 집착하지 않고, 생각에 집착하지 않고, 소원에 집착하지 않고, 삼매에 집착하지 않고, 관찰에 집착하지 않고, 고요한 선정에 집착하지 않고, 경계에 집착하지 않고, 중생을 교화하여 조복하는 데 집착하지 않으며, 다시 법계에 들어가는 데도 집착하지 않습니다. 


(21-3-9-9) 집착이 없는 까닭

무슨 연고인가하면 보살은 다음과 같이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내가 마땅히 일체 법계가 요술과 같은 줄 관하며, 모든 부처님이 그림자 같고 보살의 행이 꿈과 같고 부처님의 법을 말함이 메아리 같은 줄 관하며, 일체 세간이 화현과 같으니 업보로 유지되는 연고며, 차별한 몸이 요술과 같으니 행의 힘으로 일으킨 연고며, 일체 중생이 마음과 같으니 가지가지로 물든 연고며, 일체 법이 실제(實際)와 같으니 변할 수 없는 연고임을 관합니다.' 

  

(21-3-9-10) 집착이 없는 행의 광대함

또 '내가 마땅히 허공이 끝나고 법계에 두루한 시방의 국토에서 보살의 행을 행하며, 찰나찰나마다 일체 불법을 분명히 통달하고 바른 생각이 앞에 나타나 집착이 없을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21-3-9-11) 집착이 없는 행의 만족함

보살이 이와 같이 몸이 나라고 할 것이 없음을 관하고 부처님 보기를 걸림 없이 하며, 중생을 교화하려고 법을 연설하여 그로 하여금 부처님 법에 한량없는 즐거움과 청정한 신심을 내게 하며, 모든 이들을 구호하되 고달프거나 싫은 생각이 없습니다. 

  

고달픈 생각이 없으므로 모든 세계에서 중생이 성취하지 못하였거나 조복하지 못한 데가 있으면, 그 곳에 나아가 방편으로 교화하여 제도하되, 그 가운데 중생이 여러 가지 음성과 여러 가지 업과 여러 가지 집착과 여러 가지 시설(施設)과 여러 가지 화합이며, 여러 가지로 유전[流轉]함과 여러 가지 지음[所作]과 여러 가지 경계와 여러 가지로 태어나고 여러 가지로 죽는 것들을, 큰 서원으로 그 가운데 편안히 있어서 교화하되, 그 마음이 변동하거나 물러서지 않게 하며, 잠깐이라도 물드는 생각을 내지 않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집착함이 없고 의지한 데가 없으므로 자기를 이롭게 하고 다른 이를 이롭게 함이 청정하고 만족함입니다. 이것을 보살의 일곱째 집착 없는 행이라 합니다. 

 

(21-3-10)  제8 난득행

(21-3-10-1) 열 가지 선근(善根)의 성취

보살들이여, 어떤 것이 보살의 얻기 어려운 행[難得行]입니까?

이 보살이 얻기 어려운 선근과 굴복하기 어려운 선근과 가장 수승한 선근과 깨뜨릴 수 없는 선근과 지나갈 이 없는 선근과 헤아릴 수 없는 선근과 다하지 않는 선근과 힘이 자재한 선근과 큰 위덕 있는 선근과 모든 부처님과 성품이 같은 선근을 성취하였습니다. 


(21-3-10-2) 선근을 닦아 이익을 얻다

이 보살이 모든 행을 닦을 적에 불법 중에서 가장 나은 이해를 얻고, 부처님 보리에서 넓고 큰 이해를 얻고, 보살의 서원에 조금도 쉬지 아니하고 일체 겁이 다하여도 게으른 마음이 없으며, 모든 고통에 싫은 생각을 내지 않고, 모든 마군이 동요하지 못하며, 모든 부처님이 호념하시는 바며, 모든 보살의 고행(苦行)을 구비하게 행하고, 보살의 행을 닦되 꾸준하여 게으르지 않으며, 대승에 대한 소원이 물러나지 않습니다. 

  

(21-3-10-3) 얻기 어려운 행을 이룬 이익

이 보살이 이 얻기 어려운 행에 편안히 머물고는, 생각생각마다 아승지겁에 나고 죽음을 계속 되풀이하면서도 보살의 대원을 버리지 않으며, 만일 어떤 중생이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거나, 내지 보고 듣기만 하여도 모두 위없는 바른 깨달음에서 물러나지 않습니다. 

  

(21-3-10-4) 중생 제도함을 비유로 나타내다

이 보살이 비록 중생이 있는 것 아닌 줄을 알지만, 일체 중생들을 버리지 않으며, 마치 뱃사공이 이 언덕에 머물지도 않고 저 언덕에 머물지도 않고 중류(中流)에 머물지도 않으면서, 이 언덕 중생을 건네어 저 언덕에 이르게 하는 것이며, 왕래하여 쉬지 않는 연고입니다.

  

(21-3-10-5) 비유와 법을 합하여 나타내다

보살도 그와 같아서 생사에 머물지도 않고 열반에 머물지도 않고 생사 가운데 흐름에 머물지도 않으면서, 이 언덕 중생을 건네어 저 언덕의 편안하고 두려움이 없고 근심이 없고 시끄러움이 없는 곳에 두지만, 중생의 수효에 집착하지도 않으며, 한 중생을 버리고 여러 중생에 집착하지도 않으며, 여러 중생을 버리고 한 중생에 집착하지도 않으며, 중생계가 더하지도 않고 중생계가 감하지도 않으며, 중생계가 나지도 않고 중생계가 멸하지도 않으며, 중생계가 다하지도 않고 중생계가 자라지도 않으며, 중생계를 분별하지도 않고 중생계를 둘로 하지도 않습니다. 

  

(21-3-10-6) 까닭을 나타내다

무슨 까닭이냐 하면, 보살이 중생계가 법계와 같은데 깊이 들어가서 중생계와 법계가 둘이 없게 되고 둘이 아님을 아는 연고입니다. 둘이 없는 법에는 더함도 없고 감함도 없고 나는 것도 없고 멸함도 없고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취함도 없고 의지함도 없고 집착함도 없고 둘도 없습니다. 

  

(21-3-10-7) 고요하고 움직임이 걸림이 없다

보살이 이렇게 좋은 방편으로 깊은 법계에 들어가고는, 모양이 없는 곳에 머물러서 청정한 모양으로 그 몸을 장엄하며, 법의 성품이 없음을 알지만 일체 법의 모양을 분별하며, 중생에 집착하지 않으면서도 중생의 수를 알며, 세계에 집착하지 않으면서도 부처님 세계에 몸을 나타내며, 법을 분별하지 않으면서도 부처님 법에 잘 들어가며, 이치를 깊이 통달하고도 말로 가르침을 자세히 연설하며, 일체 법이 탐욕을 여읜 진정한 경계를 알면서도 보살의 도를 끊지 않고 보살의 행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부지런히 다함이 없는 행을 닦아서 자재하게 청정한 법계에 들어갑니다. 

  

(21-3-10-8) 비유로써 밝히다

비유컨대 나무를 비벼 불을 내거든 불타는 일이 한량없으나 불은 꺼지지 않습니다. 보살도 그와 같아서 중생을 교화하는 일이 다함이 없으나 세간에 있어서 항상 머물고 멸하지도 않습니다. 

  

(21-3-10-9) 두 가지 행을 모두 버리다

구경(究竟)도 아니고 구경 아님도 아니며, 집착도 아니고 집착 아님도 아니며, 의지도 아니고 의지 없음도 아니며, 세상 법도 아니고 부처님 법도 아니며, 범부도 아니고 과를 얻은 것도 아닙니다. 

  

(21-3-10-10) 더 수승한 행에 나아가다

보살이 이러한 얻기 어려운 마음을 성취하고 보살행을 닦을 때에 이승법(二乘法)도 말하지 않고 부처님 법도 말하지 않고 세간도 말하지 않고 세간법도 말하지 않고 중생도 말하지 않고 중생 없음도 말하지 않고 때 묻은 것도 말하지 않고 깨끗한 것도 말하지 않습니다. 왜냐 하면 보살은 일체 법이 물들지도 않고 집착도 없고 전변하지도 않고 물러가지도 않음을 아는 연고며, 보살이 이렇게 적멸하고 미묘하고 매우 깊고 가장 수승한 법 가운데서 수행할 때에 '내가 현재에 이 행을 닦고 이미 이 행을 닦았고 장차 이 행을 닦으리라'는 생각을 내지 아니하며, 오온, 십팔계, 십이처에 집착하지 않고, 안 세간, 바깥 세간, 안팎 세간과 일으킨 큰 소원의 바라밀과 일체 법에도 모두 집착이 없었습니다. 


(21-3-10-11) 고정된 법이 없다

왜냐 하면 법계 중에는 어떤 법이 성문승에 향한다, 독각승에 향한다고 이름할 것이 없으며, 어떤 법이 보살승에 향한다, 위없는 바른 깨달음에 향한다고 이름할 것이 없으며, 어떤 법이 범부 세계에 향한다 할 것이 없으며, 어떤 법이 물드는 데 향한다, 깨끗한 데 향한다, 생사에 향한다, 열반에 향한다고 할 것이 없는 연고이며, 모든 법이 둘도 없고 둘이 아님도 없는 연고입니다. 

  

(21-3-10-12) 비유와 법을 합하여 밝히다

마치 허공을 시방에서 과거나 미래나 현재에 구하여도 얻을 수 없으나, 그러나 허공이 없는 것이 아닌 것과 같이 보살도 그와 같아서 일체 법이 모두 얻을 수 없음을 관찰하지만 일체 법이 없지도 아니하여 실상과 같고 다르지 않으며, 짓는 일을 잃지 않고 보살의 행을 수행함을 보이며, 큰 원력을 버리지 않고 중생을 조복하며, 정법의 수레를 운전하여 인과 과를 무너뜨리지 아니하여 평등하고 묘한 법에도 어기지 않으며, 삼세의 여래들과 더불어 평등하여 부처의 종성을 끊지 않고 실상을 깨뜨리지 않으며, 법에 깊이 들어가 변재가 다하지 않으며, 법을 듣고 집착하지 않으나 법의 깊은 데까지 이르러 잘 열어 연설하매 두려운 마음이 없으며, 부처님 머무는 곳을 버리지 않고 세상 법을 어기지 않으며, 세간에 두루 나타나지만 세간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21-3-10-13) 자비행을 말하다

보살이 이렇게 얻기 어려운 지혜의 마음을 성취하고는 모든 행을 닦으면서, 세 삼악취(三惡趣)에서 중생들을 뽑아내어 교화하고 조복하여 삼세의 부처님 도에 편안히 두고 동요치 않게 합니다. 또 '세간의 중생들이 은혜 갚을 줄을 알지 못하고 원수로 상대하며, 삿된 소견에 집착하여 미혹하고 뒤바뀌며, 어리석고 지혜가 없어 신심이 없고 나쁜 벗을 따라 나쁜 생각을 일으키며, 탐욕과 애착과 무명과 가지가지 번뇌가 모두 가득하였으니, 이것이 내가 보살행을 닦을 만한 곳이다. 설사 은혜를 알고 총명하고 지혜가 있으며 선지식이 세간에 가득하다면 나는 이 가운데서 보살행을 닦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 하면 나는 중생에게 대하여 친하고 섬길 것도 없고 바라는 것도 없으며, 내지 실 한 오리, 풀 한 졸가리를 구하거나 칭찬하는 말 한마디를 구함도 아니며, 오는 세월이 끝나도록 보살행을 닦으면서도 한 번도 내 몸을 위하지 않았으며, 다만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청정케 하고 영원히 뛰어나게 하려는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21-3-10-14) 보살의 법

무슨 까닭인가 하면, 중생들을 지도하는 이는 으레 그러하여, 집착하지도 않고 구하는 것도 없으며, 다만 중생들을 위하여 보살의 도를 닦으며, 그들로 하여금 편안한 저 언덕에 이르러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이루게 하려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살의 여덟째 얻기 어려운 행이라 합니다. 

 

(21-3-11)  제9 선법행 

(21-3-11-1) 부처님 종성(種性)이 끊어지지 않게 하다

보살들이여, 어떤 것이 보살의 법을 잘 말하는 행[善法行]입니까? 

이 보살은 일체 세간의 하늘, 사람, 마군, 범천, 사문, 바라문, 건달바 들을 위하여 청량한 법 못[法池] 이 되어 바른 법을 거두어 지니어서 부처의 종성이 끊어지지 않게 합니다.

  

(21-3-11-2) 열 가지 다라니를 얻다

청정한 광명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법을 말하고 수기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뜻을 구족한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뜻을 말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실상 법을 깨닫는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법을 말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훈고하여 해석하는 말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연설의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끝이 없는 글 구절과 다함 없는 뜻의 걸림없는 문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걸림없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부처님의 관정 다라니를 얻어 정수리에 물을 부었으므로 환희케 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남을 의지하지 않고 깨닫는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광명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같은 말 하는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같은 말을 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여러 가지 뜻과 구절과 글을 훈고 해석하는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훈고하는 변재가 다함이 없으며, 끝이 없이 돌아가는 다라니를 얻었으므로 끝이 없는 변재가 다함이 없습니다. 

  

(21-3-11-3) 삼업(三業)으로 중생을 이롭게 하다

이 보살은 대비심이 견고하여 중생들을 널리 거두어 주는데, 삼천대천세계에서 몸을 금빛으로 변하여 불사를 지으며, 중생들의 근성과 욕락을 따라서 길고 넓은 혀로써 한 음성에 한량없는 소리를 나타내어 때에 맞추어 법을 말하여 환희케 합니다. 

  

(21-3-11-4) 법을 앎이 깊고 수승함

말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업보로 생긴 무수한 중생들이 한 곳에 모였으며, 그러한 모임이 한량없이 많은 세계에 가득하였으며, 보살이 그 모인 이들 가운데 앉았을 적에, 그 모임에 있는 중생들이 낱낱이 수없이 많은 아승지 입을 가졌고, 그 입마다 백천억 나유타 음성을 내어 한꺼번에 말하는데, 말이 각각 다르고 묻는 일이 각각 다른 것을, 이 보살이 한 생각 동안에 모두 알아듣고 따로따로 대답하여 그들의 의혹을 덜어주며, 한 모임에서와 같이 수없이 많은 모임에서도 모두 그와 같이 합니다. 

  

(21-3-11-5) 법을 앎이 더욱 미세함

한 털 끝만한 곳에서, 잠깐잠깐마다 한량없이 많은 도량에 모인 대중을 내듯이, 일체의 털 끝만한 곳에서도 그와 같이 내기를, 오는 겁이 다하도록 한다면, 저 겁은 다한다 하여도 대중의 모임은 다함이 없으며, 이러한 모임의 대중들이 잠깐잠깐마다 제각기 다른 말로써 제각기 다르게 질문하더라도, 보살은 한 생각 동안에 모두 다 알아들으면서, 두려움도 없고 겁도 없고 의심도 없고 잘못 아는 일도 없어, 이렇게 생각 합니다. 

  

(21-3-11-6) 법을 앎이 두루 하여 동시임을 나타내다

'일체 중생이 모두 이와 같은 말로써 한꺼번에 나에게 묻더라도 나는 그들에게 법을 말하되 끊임도 없고 다함도 없으며, 그로 하여금 환희하여 선한 도[善道]에 머물게 하며, 또 그들로 하여금 온갖 말을 잘 알아서 중생에게 가지가지 법을 말하되 말에 대하여 조금도 분별함이 없을 것이며, 한량없이 많은 가지가지 말로써 어렵게 묻더라도, 한 생각에 다 알고 한 음성으로 모두 대답하여 모두 깨닫게 하고 남음이 없게 할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온갖 지혜로 관정(灌頂)함을 얻은 연고며, 걸림 없는 장(藏)을 얻은 연고며, 온갖 법의 원만한 광명을 얻은 연고며, 온갖 지혜의 지혜를 구족한 연고입니다. 

  

(21-3-11-7) 삼천대천세계에서 불사(佛事)를 짓다

보살들이여, 이 보살이 선법행에 편히 머물고, 능히 스스로 청정하고, 역시 집착이 없는 방편으로 일체 중생을 이익케 하면서도, 중생이 벗어나는 일이 있음을 보지 않으며, 이 삼천대천세계에서와 같이, 내지 한량없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서 몸을 금색으로 변하고 묘한 음성을 구족하여 온갖 법에 장애함이 없이 불사를 짓습니다. 

  

(21-3-11-8)  보살이 열 가지의 몸을 성취하다

보살들이여, 이 보살은 열 가지 몸을 성취합니다. 그 까닭은 이른바 그지없는 법계에 들어가는 모든 갈래가 아닌 몸이니 일체 세간을 멸하는 연고며, 그지없는 법계에 들어가는 모든 갈래의 몸이니 일체 세간에 나는 연고며, 나지 않는 몸이니 남이 없이 평등한 법에 머무는 연고며, 멸하지 않는 몸이니 일체의 멸함을 말로 할 수 없는 연고며, 진실하지 않은 몸이니 실상과 같음을 얻은 연고며, 허망치 아니한 몸이니 마땅한 대로 나타내는 연고며, 변천하지 않는 몸이니 여기서 죽어 저기 나는 일을 여읜 연고며, 무너지지 않는 몸이니 법계의 성품이 무너짐이 없는 연고며, 한 모양 몸이니 삼세의 말할 길[語言道]이 끊어진 연고며, 모양 없는 몸이니 법의 모양을 잘 관찰하는 연고입니다. 

  

(21-3-11-9)  열 가지 몸을 성취한 목적

보살이 이러한 열 가지 몸을 성취합니다. 그 까닭은 일체 중생의 집이 되나니 모든 선근을 기르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구호함이 되나니 그로 하여금 크게 편안함을 얻게 하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돌아갈 데가 되나니 그들의 의지할 곳이 되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지도자가 되나니 위없이 벗어나게 하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스승이 되나니 진실한 법에 들게 하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등불이 되나니 그들로 하여금 업보를 환히 보게 하는 연고며, 일체 중생의 빛이 되나니 깊고 묘한 법을 비추게 하는 연고며, 일체 삼세의 횃불이 되나니 실상 법을 깨닫게 하는 연고며, 일체 세간의 비침이 되나니 광명한 땅 속에 들게 하는 연고며, 일체 갈래의 밝음이 되나니 여래의 자재함을 나타내는 연고입니다. 

  

(21-3-11-10) 일체중생을 위하여 청량한 법의 연못이 된다

보살들이여, 이것을 보살의 아홉째 법을 잘 말하는 행이라 하나니, 보살이 이 행에 머무르면, 일체 중생을 위하여 청량한 법의 연못[法池]이 되어 일체 불법의 근원을 다하는 연고입니다. 


(21-3-12)  제10 진실행

(21-3-12-1) 말과 같이 행한다

보살들이여, 어떤 것이 보살의 진실한 행[眞實行]입니까?

이 보살은 제일 진실하고 참된 말을 성취하여 말한 대로 능히 행하고 행하는 대로 능히 말합니다. 

  

(21-3-12-2) 진실한 행의 행상

이 보살이 삼세 부처님들의 진실한 말을 배우며, 삼세 부처님들의 종성에 들어가며, 삼세의 부처님들과 선근이 동등하며, 삼세 부처님들의 두 가지 없는 말을 얻으며, 여래를 따라 배워서 지혜가 성취하였습니다. 

  

(21-3-12-3) 열 가지 지혜의 성취

보살은 중생의 옳은 곳과 그른 곳을 아는 지혜와, 과거 현재 미래에 업으로 받는 과보를 아는 지혜와 근성이 이롭고 둔함을 아는 지혜와 가지가지 경계를 아는 지혜와 가지가지 이해[解]를 아는 지혜와, 온갖 곳에 이르러 갈 길을 아는 지혜와, 모든 선정, 해탈, 삼매의 때 묻음과 깨끗함이 일어나는 때와 때 아님을 아는 지혜와 온갖 세계에서 지난 세상에 머물던 일을 기억함에 따라 아는 지혜와, 천안통의 지혜와 누진통(漏盡通)의 지혜를 성취하고도 일체의 보살행을 버리지 않습니다. 무슨 까닭인가하면 일체 중생을 교화하여 모두 청정케 하려는 연고입니다. 

  

(21-3-12-4) 중생을 먼저 제도한다

보살은 이러한 더 나아가는 마음[增上心]을 다시 냅니다. 

'내가 만일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위없는 해탈도에 머물게 하지 못하고 내가 먼저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이룬다면, 이것은 나의 본래의 소원[本願]에 어기는 것이니, 마땅하지 못한 일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먼저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위없는 보리와 무여열반을 얻게 한 뒤에 성불할 것이다. 왜냐 하면 중생들이 나에게 청하여서 발심한 것이 아니고, 내가 중생에게 청하지 않은 벗이 되더라도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선근을 만족하여 온갖 지혜를 이루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가장 수승하니 일체 세간에 집착하지 않는 연고며, 내가 가장 높으니 위없는 지도하는 지위에 있는 연고며, 내가 가리움을 여의었으니 중생의 끝이 없음을 아는 연고며, 내가 이미 찬탄하였으니 본래의 소원을 성취한 연고며, 내가 잘 변화함이니 보살의 공덕으로 장엄한 연고며, 내가 좋은 의지가 되니 삼세의 부처님들이 거두어 주시는 연고이다.' 

  

(21-3-12-5) 보살의 본래의 서원

보살은 본래의 소원을 버리지 않았으므로 위없는 지혜의 장엄에 들어가서, 중생들을 이익하여 만족케 하며 본래의 소원을 따라 모두 끝까지 이르게 하였으며, 일체 법 가운데서 지혜가 자재하며, 모든 중생을 두루 청정케 하며, 생각생각마다 시방세계에 두루 노닐며, 생각생각마다 한량없이 많은 부처님 국토에 두루 나아가며, 생각생각마다 한량없이 많은 부처님과 부처님의 장엄과 청정한 국토를 다 보며, 여래의 자재하신 신통의 힘을 나타내어 법계와 허공계에 두루 가득합니다. 

  

(21-3-12-6) 부처님의 종성(種性)에 들어가다

보살은 한량없는 몸을 나타내어 세간에 두루 들어가되 의지함이 없으며, 그 몸 가운데 모든 세계와 모든 중생과 모든 법과 모든 부처님을 나타내며, 이 보살이 중생의 가지가지 생각과 가지가지 욕망[欲]과 가지가지 이해와 가지가지 업보와 가지가지 선근을 알고, 적당한 대로 몸을 나타내어 조복하며, 모든 보살이 요술과 같고 온갖 법이 변화와 같고 부처님의 출세하심이 그림자와 같고 일체 세간이 꿈과 같음을 관찰하며, 뜻의 몸[義身]과 글의 몸[文身]이 무진장함을 얻고 바른 생각이 자재하여 일체 법들을 결정적으로 알며, 지혜가 가장 수승하여 모든 삼매의 진실한 모양에 들어가니, 한 성품이며 둘이 아닌 자리에 머뭅니다. 

  

(21-3-12-7) 삼세제불의 진실한 말을 배우다

보살은 중생들이 모두 둘에 집착함을 말미암아, 대비에 머물러서 이렇게 적멸한 법을 닦아 행하며, 부처님의 십력을 얻어 인다라 그물 같은 법계에 들어가고, 여래의 걸림 없는 해탈을 성취하여 사람 중에 영특한 이로서 큰 사자후로 두려움이 없어 걸림 없고 청정한 법 수레를 운전하며, 지혜의 해탈을 얻어 일체 세간의 경계를 알고, 생사의 소용돌이를 끊고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 모든 중생을 위하여 삼세 부처님들의 바른 법을 보호하여 지니고 일체 부처님 법 바다의 실상인 근원에 이릅니다.

  

(21-3-12-8) 10행 법문을 맺고 이익을 얻다

보살이 이 진실한 행에 머물고, 일체 세간의 하늘, 사람, 마군, 범천, 사문, 바라문, 건달바, 아수라들로서 친근하는 이는 모두 마음이 열리어 깨달아 환희하고 청정하게 합니다. 이것을 보살의 열째 진실한 행이라 합니다.”


 (21-4) 상서(祥瑞)를 나타내어 증명하다

(21-4-1) 6종 18상의 진동과 하늘 공양

이 때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시방에 각각 부처님 세계의 티끌 수 세계들이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다. 이른바 흔들흔들, 두루 흔들흔들, 온통 두루 흔들흔들, 들먹들먹, 두루 들먹들먹, 온통 두루 들먹들먹, 울쑥불쑥, 두루 울쑥불쑥, 온통 두루 울쑥불쑥, 우르르, 두루 우르르, 온통 두루 우르르, 와르릉, 두루 와르릉, 온통 두루 와르릉, 와지끈, 두루 와지끈, 온통 두루 와지끈이며, 하늘 꽃, 하늘 향, 하늘 가루향, 하늘 화만, 하늘 옷, 하늘 보배, 하늘 장엄거리를 비 내리며, 하늘 음악을 연주하고 하늘 광명을 놓고 하늘의 미묘한 음성으로 화창하게 연설하였다. 

  

(21-4-2) 다른 야마천궁에서도 그와 같았다

이 세계의 야마천궁(夜摩天宮)에서 십행(十行)의 법을 말하면서 나타내는 신통 변화와 같이, 시방세계에서도 다 그러하였다. 

  

(21-4-3) 십만 세계 미진수 보살들의 찬탄

다시 부처님의 신력으로써 시방으로 각각 십만 부처님 세계의 티끌 수 세계 밖에 있는 십만 부처님 세계의 티끌 수 보살들이 함께 이 국토에 와서 시방에 가득 차 있었다. 공덕림보살에게 말했다. 

  “보살이여, 잘 하십니다. 보살의 행을 잘 연설합니다. 우리들은 모두 같은 이름인 공덕림(功德林)입니다. 우리가 있는 세계의 이름은 모두 공덕당[功德幢]이며, 그 세계에 계시는 모든 여래께서는 명호가 보공덕(普功德)이신데, 우리들의 부처님 계신 곳에서도 이 법문을 말씀하며, 모인 대중과 권속과 말과 이치가 모두 여기서와 같아서 더하거나 덜함이 없습니다. 

  보살이여, 우리들은 모두 부처님의 신력을 받들고 이 회상에 와서 당신들을 위하여 증명하는 것이며, 시방세계에서도 다 그와 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상호.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대표. 김성규 사업자등록번호. 514-82-14810 [사업자등록, 법인등록정보 확인]
Tel)053-474-1208 Fax)053-794-0087 E-mail) tongsub2013@daum.net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0(대명동)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규

Copyright ©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0
어제
0
최대
0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