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법구경서 > 우리말법구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우리말법구경

우리말법구경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통섭불교
댓글 0건 조회 9,412회 작성일 22-06-24 12:29

본문

우리말법구경(法句經)



존자 법구(法救) 지음

오(吳) 천축사문(天竺沙門) 유기난(維祇難) 등 한역

수정번역 정명(淨名) 김성규(우리말로 번역된 것을 수정번역 하였음)




법구경서(法句經序)

『담발게(曇鉢偈)』에는 온갖 경전의 중요한 이치가 담겨져 있다. 담이란 법(法)이라는 뜻이고 발(鉢)이란 구(句)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법구경(法句經)』은 별도로 여러 부(部)가 존재하는데, 900게송으로 되어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혹은 700게송, 혹은 500게송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게(偈)란 결론짓는 말이라는 뜻으로 시송(詩頌)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법구경』은 부처님께서 설하신 것에 대한 기록이라서 어느 한 특정시기에 설해진 말씀이 아니므로, 제각기 그 내용에 본말(本末)이 따로따로 되어 있으며, 여러 경전에 분포(分布)되어 있다.


일체지(一切智)이신 부처님의 성품은 매우 인자하시어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기셨기에 세상에 출현하셔서 도(道)의 이치를 열어 밝혀서 그것으로써 사람들을 깨우쳐 주셨는데, 그 가르침은 모두 12부경(部經)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요점을 총괄(總括)하여 특별히 몇 부(部)로 만들었으니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뒤에 아난(阿難)이 전한 4부(部)의 『아함경(阿含經)』이 그것이다.


이 경에 나오는 경전의 권수가 크건 작건 상관없이 모두 ‘이와 같이 들었다[聞如是]’는 말과, 그 경을 설할 때 부처님께서 계셨던 곳 등을 일컫고 있다. 그 뒤로 5부의 사문들이 각각 여러 경전들 중에 나오는 4구(句) 게송과 6구 게송을 초록하고 뜻에 맞추어 순서를 정하고 조목을 나누어 품(品)을 만들었는데 12부경에 대하여 어느 것 하나 헤아려 참고하지[斟酌] 않은 것이 없었으므로 거기에 붙일 만한 적합한 이름이 없어서 ‘법구(法句)’라고 하였다. 모든 경전이 다 법언(法言)이 되니 ‘법구’란 법언이라는 말을 따른 것이다.


근세에 갈(葛)씨가 700게송을 전했는데 그 게송의 뜻이 심오하였다. 그런데 이것을 번역해 낸 사람이 그 내용을 흐려놓았으니, 그것은 오직 부처님을 만나기 어려웠기 때문이며, 또한 그 글을 듣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부처님께서 출현하신 곳은 천축국이었으므로 천축국의 말과 한문화(漢文化)권의 말이 서로 다르며, 천축국에서는 자칭 천축의 글을 천서(天書)라 하고 그 나라 말을 천어(天語)라고 하였으니 이름과 사물이 서로 같지 않아 사실 그대로를 전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옛날 남조(藍調) 안후(安候) 세고(世高:安淸)와 도위(都尉) 불조(佛調:嚴佛調)가 진(秦)나라 말로 범어(梵語)를 번역한 것만이 진실로 그 체(體)를 얻었다 할 만한데, 그것마저 오래도록 계승하기 어려웠다. 그 후에 전해진 것들도 비록 정밀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항상 그 보배를 귀하게 여겼으므로 대강이나마 큰 뜻은 갖추고 있었다.


처음에 유기난(維祇難)이 천축을 나와 황무(黃武) 3년(224)에 무창(武昌)으로 왔는데 복종(僕從:이 글을 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인 듯함)이 그에게서 이 500게송으로 된 책을 받아 가지고 그의 도반[同道]인 축장염(竺將焰:竺律焰)을 청해다가 번역하게 하였다.


장염이 비록 천축 말을 잘하긴 했지만 한문(漢文)에 밝지 못해서 그가 전역한 말 중에 혹 범어를 만나면 뜻으로 풀어 번역하기도 하고, 음을 그대로 쓰기도 하여 그 내용이 질박(質樸)하였다. 처음에 지겸(支謙)이 그(축율염)의 문장이 청아[雅]하지 못하다고 하자 유기난이 말하기를 “부처님의 말씀은 그 뜻을 중요하게 여기시고 수식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셨으며, 그 법만을 취하셨지 엄숙함을 원하시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니 경을 전역하는 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알기 쉽게 해서 그 뜻을 잃지 않으면 그것이 최선입니다”라고 하자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말하기를 “노씨(老氏:老子)는 ‘아름다운 말은 믿음이 안 가고 믿을 만한 말은 아름답지 않다’고 하였고, 중니(仲尼:孔子)도 ‘글로는 말의 의미를 다 전달할 수 없고, 말로는 마음을 다 전달할 수 없다’고 하였으니, 성인의 뜻을 밝히기에는 그 의미가 너무도 깊고 깊어서 다할 수 없으나 지금 전한 범어의 뜻은 진실로 경의 의미를 통달하기에 적절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이 『법구경』 게송을 번역할 때에 번역하는 사람이 말하는 것을 받아 옮기고 본뜻에 충실했을 뿐 문장을 수식하지 않았다. 번역한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빼고 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빠진 부분도 있고 애당초 전역되지 않은 부분도 많다. 그러나 이 경은 비록 문장은 질박하지만 그 뜻은 심오하며, 문장은 축약되었으나 그 의미는 넓다. 경의 내용이 온갖 경전과 연관되어 있으나 장(章)마다 근본이 있고 구절마다 말의 의미가 명확하다.


천축에서는 처음 공부를 하는 사람이 『법구경』 을 배우지 않으면 순서를 뛰어 넘었다고 말한다. 그러니 이 책이야 말로 처음 공부에 들어선 사람의 홍점(洪漸)이며, 공부에 깊이 들어간 사람에게는 오장(奧藏)이 되는 것이다. 몽매한 사람을 깨우쳐주고 의혹 있는 사람을 분명하게 가려 밝혀주며 사람을 인도하여 스스로 서게 해주는 것이니, 배움의 공(功)은 미미하지만 내포하고 있는 뜻은 광대하다. 그러니 이것이야말로 미묘한 요체라 할만하다.


옛날에 이 책을 전역(傳譯)할 때 잘 알지 못하고 지나간 것이 있었는데, 마침 장염이 왔기에 다시 그에게 자문을 구하여 이 게송들을 받아 다시 13품을 더하고 아울러 옛것과 교열하였으므로 늘어난 것도 있고 바로잡아진 것도 있게 되었다. 그 품목을 정비하니 도합 1부(部) 39편(篇)에 게송이 모두 752장(章)이 수록되었다.

보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함께 널리 묻는 바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상호.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대표. 김성규 사업자등록번호. 514-82-14810 [사업자등록, 법인등록정보 확인]
Tel)053-474-1208 Fax)053-794-0087 E-mail) tongsub2013@daum.net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0(대명동)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규

Copyright ©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0
어제
0
최대
0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