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정제업장보살장 > 우리말원각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우리말원각경

09 정제업장보살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통섭불교
댓글 0건 조회 1,194회 작성일 23-12-06 15:57

본문

09 정제업장보살장


사상을 없애다


그때 정제업장보살(淨諸業障菩薩)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에 정례하며,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두 무릎을 세워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대비하신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을 위하여 이와 같이 부사의한 일인 일체 여래의 인지(因地)에서 행하시던 행상을 널리 말씀하시어, 대중들로 하여금 일찍이 듣지 못한 가르침을 얻게 하셨습니다. 

부처님께서 항하사 겁을 지나도록 애쓰신 경계인 일체 공용을 모두 보기를 마치 일념과 같이 하게 하시니, 저희 보살들은 마음깊이 기뻐합니다.

부처님이시여, 만일 이 원각의 마음이 본래 성품이 청정하다면 무엇 때문에 더럽혀져서 중생들이 혼란하여[迷悶] 원각에 들어가지 못합니까?

오직 원하옵니다. 여래께서 널리 저희들을 위하여 법의 성품을 자세히 보여주시고 이 대중과 말법세계 중생으로 하여금 장래의 밝은 안목을 갖게 하소서.”

이렇게 말씀드리고는 오체투지하며 이같이 세 번 거듭 청하였다.

그때 부처님께서 정제업장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착하고 착하다, 보살이여, 그대들이 이에 모든 대중과 말법세계 중생을 위하여 여래에게 이같은 방편을 묻는구나. 이제 자세히 들으라.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설하리라.”

그때 정제업장보살이 가르침을 받들어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조용히 들었다.

“보살이여, 일체 중생이 비롯함이 없는 옛날부터 망상으로 나와 남과 중생과 수명[我人衆生壽命]이 있다고 집착하여 네 가지 뒤바뀜을 잘못 알아 실제로 참 나의 본체가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미움과 사랑의 두 경계가 생기고 허망한 그 몸에 거듭 허망하게 집착하였다. 두 허망이 서로 의지하여 허망한 업의 길이 생긴 것이다. 

하망한 업이 있는 까닭에 망령되이 윤회를 보며 윤회를 싫어하는 이는 망령되이 열반을 본다.

이로써 청정한 깨달음에 들지 못하니, 이것은 원각이 깨달아 들어가는 이들을 거부하고 멀리하는 것이 아니며, 깨달아 들어가는 이가 있더라도 원각이 들어가게 함이 아닌 까닭이다. 

이 때문에 생각을 움직이고 생각을 쉼이 모두 미혹하고 흐릿한 곳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시작이 없이 본래 일어난 무명으로 자기의 주재(主宰)로 삼았기 때문이다. 일체 중생이 태어날 때부터 지혜의 눈이 없어서 몸과 마음의 성품이 모두 무명이다. 비유하면 사람이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분명히 알아야 한다. 나를 사랑하는 이는 내가 수순해주고 수순하지 않는 이에게는 원망을 품는다. 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무명을 자라게 하는 까닭에 상속하여 도를 구하여도 다 성취하지 못한다.

보살이여, 무엇이 아상(我相)인가? 이른바 중생들이 마음으로 증득한 것을 아상이라 한다. 

보살이여,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온몸이 편안하고 건강할 때는 내 몸을 잊고 있다가, 사지가 당기거나 늘어져서 병이 났을 때에 그 자리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뜨면 그 반응으로 내가 있다는 것을 아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증득해 취하는 것이 있어야 ‘나’라는 몸의 정체가 나타난다. 

보살이여, 그 마음이 여래께서 결국 분명히 아신 청정열반을 증득할지라도 모두 아상일 뿐이다.

보살이여, 무엇이 인상(人相)인가? 이른바 중생들이 마음으로 증득한 것을 깨닫는 것을 인상이라 한다.

보살이여, 나[我]가 있다고 깨달은 이는 다시는 나를 나라고 인정하여 집착하지 않거니와 나[我]가 아니라고 아는 깨달음도 그와 같다. 

깨달음이 이미 일체 증득한 것을 초월했다 하더라도 모두가 인상일 뿐이다. 

보살이여, 그 마음에서 열반이 나[我]라고 뚜렷이 깨달을지라도, 그 마음에 조금이라도 깨달았다는 생각을 가지고서 증득한 이치를 널리 갖추었다면 이것을 모두 인상이라 한다. 

보살이여, 무엇이 중생상(衆生相)인가? 이른바 중생들 스스로 마음으로 증득하거나 깨달음으로 미치지 않는 것을 중생상이라 한다. 

보살이여,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나는 중생이다’고 하면, 그 사람이 중생이라 말한 것은 나도 아니며, 남도 아닌 줄 아는 것과 같다. 

어찌하여 나[我]가 아닌가? 내가 중생이다 라고 했기 때문에 나[我]가 아니다. 어찌하여 남도 아닌가? 내가 중생이라 했기 때문에 남도 나가 아닌 것이다. 

보살이여, 단지 중생들의 증득함과 깨달음이 모두 아상, 인상이니, 아상, 인

상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조금이라도 알았다는 생각이 있으면 이것을 중생상이라 한다.

보살이여, 무엇이 수명상(壽命相)인가? 이른바 중생들의 마음의 비춤이 청정하여 깨달아 안 것을 수명상이라 한다. 

일체 업을 아는 지혜로 업의 근본을 보지 못하는 것이 마치 목숨[命根]과 같다. 보살이여, 마음으로 일체 깨달음을 비추어 보는 것은 모두 번뇌이니, 깨달은 이와 깨달은 바가 번뇌를 여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마치 끓는 물로 얼음을 녹임에 따로 얼음이 있어 얼음이 녹은 것인 줄 아는 얼음이 따로 없듯이, 내가 있어서 나를 깨닫는 것도 이와 같다.

보살이여, 말법세계 중생이 네 가지 상[四相]을 알지 못하면 비록 여러 겁을 지내도록 힘써 도를 닦더라도 단지 유위(有爲)일 뿐이며, 일체 성스러운 과보를 이루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를 정법(正法)의 말법세계라 이름한다. 

왜냐하면 일체의 나를 인정하여 열반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즉 증득함이 있고 깨달음이 있다는 마음으로써 성취한 것이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잘못 알아 도둑을 아들로 삼음에 그 집의 재산을 온전하게 보전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나를 애착[我愛] 하는 이는 열반도 사랑하여 나에 대한 애착이 근원을 굴복시키고는 열반의 모습으로 여긴다. 

또한 나에 대해 미워함이 있는 이는 생사도 미워하여 사랑하는 것이 참된 생사임을 알지 못하는 까닭에 따로 생사를 미워하니, 해탈이 아니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법다운 해탈이 아님을 아는가? 

보살이여, 저 말법세계 중생으로서 보리를 익히는 자가 자기의 조그마한 증득으로써 스스로 청정이라 여기니, 아상의 근본을 없애지 못함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그 법을 찬탄하면 기뻐하는 생각을 내어 제도하려 한다. 

만일 다시 그가 얻은 것을 비방하면 화를 내고 원한을 품으니, 아상을 견고하게 집착하여 장식(藏識)에 깊이 숨었다가 육근에 나타나 일찍이 아상을 끊은 적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보살이여, 그런 도를 닦는 사람들이 아상을 없애지 못했기 때문에 청정한 깨달음에 들어가지 못한다. 

보살이여, 만일 내가 공한 줄[我空] 알면 나를 헐뜯을 이가 없으며, 아상을 가지고 법을 설하는 이는 아상이 아직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중생상과 수명상도 이와 같다. 

보살이여, 말법세계 중생이 병을 법이라 말하니, 참으로 가여운 자이다. 아무리 애써 정진하나 온갖 병만 더할 뿐이다. 그런 까닭에 청정한 원각에는 들지 못한다.

보살이여, 말법세계 중생이 네 가지 상[(四相)을 분명히 알지 못하므로 여래에 대한 견해와 행한 자취로써 자기의 수행인 것처럼 여기니, 이 중생은 공부를 끝내 성취하지 못한다. 

혹 어떤 중생은 얻지 못한 것을 얻었다 하고,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했다고 하며, 나보다 뛰어난 이를 보면 질투심을 내니, 그 중생은 아직 자신에 대한 애착을 끊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정한 원각에 들지 못한다. 

보살이여, 말법세계 중생이 도 이루기[成道]를 희망하되 깨달음을 구하지 않고 오직 듣는 것만 더하여 나라는 소견만 더욱 자라게 한다. 

다만 부지런히 정진하여 번뇌를 항복시키고 큰 용맹을 일으켜서 얻지 못한 것을 얻게 하며, 끊지 못한 것을 끊게 하여, 탐냄[貪], 성냄[瞋], 애착[愛], 교만[慢]과 아첨[諂], 왜곡[曲], 질투하는 마음이 경계를 대하여도 생기지 않게 되며, 남과 나의 은애(恩愛)가 적멸하면, 이 사람은 점차로 원각을 성취할 것이다. 

선지식을 구하면 사견에 떨어지지 않으려니와 만일 구하는 바에 따로 미움과 사랑을 일으키면 청정한 원각에 들지 못한다.”

그때 부처님께서 이 뜻을 거듭 펴시려고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정업(淨業)이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일체 중생들이

모두 나를 사랑하여 집착하므로

끝없는 옛날부터 허망하게 윤회하였으니 

네 가지 상을 제거하지 못하면

보리를 이루지 못한다.


사랑과 미움이 마음에서 생기고

아첨과 왜곡이 생각 속에 있으니

그 까닭에 혼란하고 답답함이 많아서

깨달음의 성에 들어가지 못한다.


만일 깨달음의 세계로 돌아가려면 

먼저 탐, 진, 치를 버리고

법의 사랑까지도 마음에 남지 않으면

점차로 성취할 수 있다.


내 몸도 본래 있는 것이 아닌데 

미움과 사랑이 어디서 생기는가.

이런 사람이 선지식을 구하면

끝까지 사견에 떨어지지 않는다. 


구하는 바에 따로 생각을 내면

끝내 성취하지 못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상호.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대표. 김성규 사업자등록번호. 514-82-14810 [사업자등록, 법인등록정보 확인]
Tel)053-474-1208 Fax)053-794-0087 E-mail) tongsub2013@daum.net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0(대명동)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규

Copyright © 사단법인 통섭불교원.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5,129
어제
7,407
최대
7,694
전체
1,234,723